반응형
게임을 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바닐라(Vanilla)'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드나 확장팩 없이 게임을 즐기는 것을 왜 하필 '바닐라'라고 부르게 되었을까요?
바닐라, 그 시작은 아이스크림 바닐라는 원래 아이스크림의 가장 기본이 되는 맛입니다. 초콜릿, 딸기와 같은 다른 맛이나 토핑이 추가되지 않은 가장 순수한 상태를 의미했죠. 이 '기본'과 '순수함'이라는 개념이 다른 분야로 확장되기 시작했습니다.
반응형
1. 기술 용어로의 진화
- 1970년대 초, IBM이 처음으로 자사의 기본 운영체제를 'Vanilla OS'라고 명명
- 수정이나 커스터마이징 없는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지칭
-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기본 설정' 또는 '수정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로 정착
2. 게임 용어로의 정착
- 1990년대 후반, PC 게임의 모딩(modding) 문화가 활성화되면서 사용 시작
- '퀘이크(Quake)'와 '둠(Doom)' 커뮤니티에서 본격적으로 사용
- 'World of Warcraft'의 초기 버전을 'WoW Vanilla'로 부르면서 게임계의 표준 용어로 자리매김
3. 대표적인 바닐라 게임 사례
- 마인크래프트 바닐라 : 모드나 플러그인이 없는 순수 버전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바닐라 : 2004년 출시된 최초의 버전, 확장팩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
- 스카이림 바닐라 : 모드 없이 즐기는 기본 게임
현대 게임에서의 의미
- 게임의 기본 시스템
- 출시 당시의 순수한 상태
- 공식 컨텐츠만 포함된 버전
- 개발사가 의도한 본래의 게임플레이
바닐라 버전을 찾는 이유 : 근본성
- 게임의 본질적인 재미 경험
- 개발자의 원래 의도 존중
- 게임 보존 관점에서의 중요성
- 모드와 원본을 구분 짓는 기준점
아이스크림의 기본 맛을 뜻하던 '바닐라'는 IBM의 기술 용어를 거쳐, 현재는 게임의 원본 상태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특히 모드와 확장팩이 일반화된 현대 게임 문화에서, 게임의 본질적 가치와 순수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의미로 자리잡았습니다.
반응형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해상도 완벽 가이드 : 종류, 가격, 추천 모델 및 사용자 후기 (2025년 4월 기준) (1) | 2025.04.15 |
---|---|
게임 물리 엔진 버그의 세계 : 하늘을 향해 고무고무 JET 피스톨 (0) | 2025.04.11 |
진화생물학 관점에서 본 게임의 재미: 유전자와 생존의 시뮬레이션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