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 SLA/DLP(Stereolithography/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3D 프린팅 기법 종류
3D 프린팅 기술은 크게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녹여 층층이 쌓는 방식
- SLA(Stereolithography): 액체 광경화성 수지를 레이저로 경화시키는 방식
- DLP(Digital Light Processing): SLA와 유사하지만 프로젝터 광원 사용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분말 재료를 레이저로 소결하는 방식
- MSLA(Masked SLA): LCD 스크린으로 UV 빛을 차단하는 방식
- PolyJet/Material Jetting: 광경화성 수지를 분사하고 UV로 경화하는 방식
- Binder Jetting: 분말 재료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방식
각각의 방식은 고유한 장단점과 적합한 사용 사례가 있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FDM, SLA/DLP, SLS 방식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한 표 입니다.
방식 | FDM | SLA/DLP | SLS |
원리 | 필라멘트를 녹여 층층이 쌓음 | 액체 수지를 빛으로 경화하여 층층이 쌓음 | 분말 재료를 레이저로 소결하여 층층이 쌓음 |
장점 | - 경제적 - 다양한 재료 사용 가능 - 유지보수 용이 - 대형 출력 가능 |
- 고해상도 - 매끄러운 표면 - 미세 디테일 표현 우수 - 투명 출력 가능 |
- 서포트 없이 복잡한 형상 제작 가능 - 높은 내구성 - 다양한 재료 사용 가능 - 정밀한 디테일 구현 |
단점 | - 해상도 한계 - 층 라인 발생 - 후처리 필요 |
- 높은 비용 - 작은 출력 크기 - 독성 레진 취급 주의 - 후처리 필수 |
- 높은 가격 - 대형 장비 필요 - 표면이 거칠 수 있음 - 높은 전력 소비 |
사용 가능 재료 | PLA, ABS, PETG, TPU, 나일론 | 스탠다드 레진, 엔지니어링 레진, 덴탈 레진, 캐스터블 레진, 플렉시블 레진 | PA12(나일론), TPU 분말, 금속 분말(티타늄,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세라믹 분말 |
적합한 용도 | 프로토타입 제작, 취미 프로젝트, 교육용 모델, 간단한 기능성 부품, 대형 모형 | 쥬얼리 디자인, 치과/의료 모델, 정밀 피규어, 고품질 프로토타이핑, 정밀 기계 부품 | 기능성 최종 제품, 소량 생산, 자동차/항공 부품, 복잡한 기계 부품, 맞춤형 의료기기 |
실사용 후기 | - "ABS 출력 시 챔버 온도 관리 필수" - "노즐 청소는 황동솔 사용" - "레벨링이 9할, Z오프셋 중요" |
- "레진 작업 시 니트릴 장갑 필수" - "IPA 세척 후 2차 세척 필수" - "FEP 필름 텐션 관리 중요" |
- "냉각 시간 확보 필수, 급냉 시 뒤틀림 발생" - "분말 재활용 비율 30% 이내 유지" - "챔버 온도 안정화 중요" |
FDM 방식
원리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녹여 노즐을 통해 압출하면서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입니다.

장점
- 경제성: 가장 저렴한 프린팅 방식
- 재료 다양성: PLA, ABS, PETG, TPU 등 다양한 재료 사용 가능
- 유지보수 용이: 부품 교체가 비교적 쉬움
- 대형 출력: 대형 모델 제작에 적합
단점
- 해상도 한계: 다른 방식에 비해 정밀도가 낮음
- 층 라인 발생: 층간 경계가 눈에 보임
- 후처리 필요: 매끄러운 마감을 위해 추가 작업 필요
사용 가능 재료
- PLA(Polylactic Acid): 생분해성, 쉬운 출력, 저독성
-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내구성, 내열성 우수
-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유연성과 내구성 균형
-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고무 같은 유연성
- 나일론: 높은 내구성, 강도
적합한 용도
- 프로토타입 제작
- 취미 프로젝트
- 교육용 모델링
- 간단한 기능성 부품
- 대형 모형 제작
온라인커뮤니티 유저들의 실전 조언
- "ABS 출력시 챔버 온도 관리가 중요해요. 쿨링 꺼야 뒤틀림 최소화됨"
- "노즐 청소는 브러시 말고 황동솔로 하세요. 플라스틱 브러시는 노즐도 긁고 금방 망가짐"
- "레벨링이 9할입니다. Z오프셋 제대로 잡으면 품질 확 올라가요"
SLA/DLP 방식
원리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에 빛(레이저 또는 프로젝터)을 쏘아 원하는 부분만 경화시켜 층층이 쌓는 방식입니다.

장점
- 고해상도: 매우 정밀한 출력 가능
- 표면 품질: 매끄러운 표면 마감
- 세부 표현: 미세한 디테일 표현에 탁월
- 투명 출력: 투명한 모델 제작 가능
단점
- 높은 비용: 장비와 재료 모두 FDM보다 비쌈
- 작은 빌드 볼륨: 일반적으로 출력 크기 제한
- 레진 취급: 독성 있는 레진 취급 주의 필요
- 후처리 필수: UV 경화, 세척 등 추가 작업 필요
사용 가능 재료
- 스탠다드 레진: 기본적인 광경화성 수지
- 엔지니어링 레진: 내구성, 내열성 강화
- 덴탈 레진: 치과용 모델 제작
- 캐스터블 레진: 주조용 모형 제작
- 플렉시블 레진: 유연한 속성
적합한 용도
- 쥬얼리 디자인
- 치과 및 의료용 모델
- 정밀한 피규어 및 미니어처
- 고품질 프로토타이핑
- 정밀 기계 부품
온라인커뮤니티 유저들의 실전 조언
- "레진은 무조건 니트릴 장갑 착용하세요. 피부 트러블 진짜 심해요"
- "IPA 세척 후 2차 세척 필수! 표면 품질 확실히 차이납니다"
- "MSLA 프린터는 FEP 필름 텐션 관리가 중요해요. 너무 팽팽하면 터지고 너무 느슨하면 들러붙음"
SLS 방식
원리
가루 형태의 재료에 고출력 레이저를 쏘아 재료를 선택적으로 소결시켜 층층이 쌓는 방식입니다.

장점
- 복잡한 구조 출력: 서포트 없이 복잡한 형상 제작 가능
- 높은 내구성: 견고한 부품 제작 가능
- 재료 다양성: 나일론, 금속 등 다양한 소재 사용 가능
- 정밀도: 정교한 디테일 구현
단점
- 높은 가격: 장비 및 운영 비용이 매우 높음
- 설치 공간: 대형 장비 및 부대 설비 필요
- 표면 마감: 다소 거친 표면 질감
- 전력 소비: 높은 전력 소비량
사용 가능 재료
- PA12(나일론): 가장 일반적인 SLS 재료
- TPU 분말: 유연한 부품 제작
- 금속 분말: 티타늄,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
- 세라믹 분말: 고온 내구성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용도
- 기능성 최종 제품
- 소량 생산
- 자동차/항공 부품
- 복잡한 기계 부품
- 맞춤형 의료기기
온라인커뮤니티 유저들의 실전 조언
- "SLS는 냉각 시간 확보가 중요해요. 급냉각하면 뒤틀림 생김"
- "분말 재활용은 최대 30%만 섞는 게 품질 유지에 좋습니다"
- "챔버 온도 안정화가 출력물 강도에 직결됩니다"
가격대별 추천 3D 프린터
입문급 (20-30만원대)
- 크리얼리티 Ender 3 V2 (FDM)
- 가격: 약 25만원
- 특징: 높은 안정성, 커뮤니티 지원, 쉬운 업그레이드
- 빌드 볼륨: 220 x 220 x 25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초보자 시작용으로 가성비 최고, 파츠 구하기 쉬움"
- 앤이큐비 포토 S (ANYCUBIC Photon S) (MSLA)
- 가격: 약 30만원
- 특징: 저렴한 레진 프린터, 높은 정밀도
- 빌드 볼륨: 115 x 65 x 165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입문용 레진으로 좋음, 단 환기 확실히 해야함"
- 엘레구 마스 2 프로 (ELEGOO Mars 2 Pro) (MSLA)
- 가격: 약 28만원
- 특징: 빠른 출력 속도,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 빌드 볼륨: 129 x 80 x 16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앤큐보다 UI가 편함, 레진통 깊이가 더 좋음"
중급 (50-100만원대)
- 프루사 i3 MK3S+ (FDM)
- 가격: 약 100만원
- 특징: 높은 신뢰성, 뛰어난 부품 품질, 자동 레벨링
- 빌드 볼륨: 250 x 210 x 21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대체불가 워크호스, 문제점 거의 없음"
- 플라시보 3 플러스 (Phrozen Sonic Mini 8K) (MSLA)
- 가격: 약 80만원
- 특징: 8K 해상도, 높은 정밀도, 빠른 출력 속도
- 빌드 볼륨: 165 x 72 x 18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피규어 취미는 이 정도는 써야 디테일 살아남"
- 밤부랩 X1 카본 (FDM)
- 가격: 약 70만원
- 특징: 고강성 프레임, 직관적 UI, WiFi 연결
- 빌드 볼륨: 235 x 235 x 25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국산이라 AS 빠름, 초보자도 쉽게 다룰 수 있음"
고급 (100-300만원대)
- 울티메이커 S5 (FDM)
- 가격: 약 300만원
- 특징: 듀얼 압출, 대형 빌드 볼륨, 뛰어난 출력 품질
- 빌드 볼륨: 330 x 240 x 30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회사에서 쓰기 좋음, 신뢰성 높고 소음 적음"
- 포먼 3+ (SLA)
- 가격: 약 250만원
- 특징: 저층 LFS 기술, 자동화 기능, 클라우드 연결
- 빌드 볼륨: 145 x 145 x 185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레진 냄새 적고 워크플로우 편함, 전문가용"
- Peopoly Phenom L (MSLA)
- 가격: 약 280만원
- 특징: 대형 빌드 볼륨, 4K 해상도
- 빌드 볼륨: 345 x 194 x 40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대형 피규어 출력하면 압도적, 레진 소모량 주의"
산업용 (1000만원 이상)
- EOS P 396 (SLS)
- 가격: 약 1억원 이상
- 특징: 산업용 SLS, 고품질 나일론 소결
- 빌드 볼륨: 340 x 340 x 60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생산용으로 쓰는 회사 많음, 유지비 감안해야 함"
- 스트라타시스 J55 (PolyJet)
- 가격: 약 5000만원
- 특징: 풀 컬러 출력, 사무실 환경 적합
- 빌드 볼륨: 1,174cm² 원형 플랫폼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디자인 회사에서 프로토타입용으로 최고"
- 3D Systems ProX DMP 320 (금속 3D 프린터)
- 가격: 약 8억원 이상
- 특징: 티타늄, 알루미늄 등 금속 출력
- 빌드 볼륨: 275 x 275 x 420mm
- 온라인커뮤니티 평가: "항공우주 부품 생산에 쓰임, 운영비 천문학적"
업계별 활용 사례
제조업
- 프로토타이핑: 제품 개발 주기 단축
- 지그 및 픽스처: 맞춤형 생산 도구 제작
- 소량 생산: 맞춤형 부품 소량 생산
- 스페어 파트: 단종된 부품 대체 생산
의료
- 의료 모델링: 수술 전 계획 및 교육
- 맞춤형 보철물: 환자별 맞춤 임플란트
- 치과 모델: 치아 교정기, 크라운 제작
- 의료 도구: 맞춤형 수술 가이드
건축 및 인테리어
- 건축 모형: 축소 건축 모델 제작
- 맞춤형 가구: 특수 디자인 가구 요소
- 리노베이션 부품: 교체 부품 제작
- 실내 장식: 맞춤형 장식 요소
교육
- 시각 교육 도구: 3D 학습 모델
- 학생 프로젝트: STEM 교육 강화
- 해부학 모델: 의학 교육용 모델
- 역사적 복제품: 유물 복제 및 학습
엔터테인먼트 및 취미
- 피규어 제작: 캐릭터 및 미니어처
- 코스플레이 소품: 맞춤형 의상 요소
- 게임 액세서리: 맞춤형 게임 부품
- RC 모델: 드론, 자동차 부품
초보자를 위한 3D 프린터 선택 가이드

고려해야 할 요소
- 용도: 어떤 종류의 물체를 주로 출력할 계획인지
- 기술 숙련도: 기술적 문제 해결 능력과 시간 투자 의향
- 공간: 프린터 설치 공간과 통풍 고려
- 예산: 장비, 재료, 유지보수 비용 포함
- 소음 및 냄새: 생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초보자를 위한 권장사항
- FDM 시작: 진입 장벽이 낮고 배우기 쉬움
- 커뮤니티 지원: 사용자 커뮤니티가 활발한 인기 모델 선택
- 조립형 vs 완제품: 기술적 성향에 따라 선택
- 안전 고려: 특히 레진 프린터의 경우 안전 장비 구비
온라인커뮤니티 초보자 팁
- "처음엔 PLA로 시작하세요. 실패해도 냄새 적고 다루기 쉬움"
- "오픈소스 슬라이서 먼저 배우세요. 프로파일 조정이 품질의 핵심"
- "유튜브 튜토리얼 보면서 시작하면 진입장벽 낮아져요"
자주 묻는 질문
Q: 3D 프린터를 처음 구매하는데 어떤 것을 사야 할까요?
A: 처음이라면 FDM 방식의 크리얼리티 Ender 3 V2나 엔더 3 S1과 같은 모델이 추천됩니다. 사용이 쉽고, 커뮤니티 지원이 활발하며,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합니다. 피규어나 미니어처에 관심이 있다면 MSLA 방식의 엘레구 마스 2 프로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Q: 3D 프린터 유지보수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A: FDM 프린터의 경우 필라멘트 비용(1kg당 2-5만원), 노즐 교체(5,000-10,000원), 빌드 플레이트 등 소모품 비용이 발생합니다. 레진 프린터는 레진(1L당 5-10만원), FEP 필름(2-3만원), LCD 스크린(6개월-1년마다 교체, 10-15만원) 비용이 필요합니다.
Q: 3D 프린팅에 필요한 추가 장비는 무엇인가요?
A: FDM 프린터의 경우 필라멘트 보관함, 니퍼, 스패튤라, 사포 등이 필요합니다. 레진 프린터는 세척용 IPA, 니트릴 장갑, 마스크, UV 경화기, 페이퍼 필터, 세척통 등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Q: 프린팅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 모델 크기, 복잡성, 레이어 높이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작은 모델(5cm 미만)은 1-3시간, 중간 크기는 5-10시간, 대형 모델은 24시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FDM보다 레진 프린터가 일반적으로 더 빠릅니다.
Q: 3D 모델은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A: Thingiverse, Printables, MyMiniFactory, Cults3D 등의 사이트에서 무료 및 유료 모델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직접 모델링을 원한다면 Tinkercad(초보자용), Fusion 360, Blender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레진 프린터는 정말 위험한가요?
A: 적절한 안전 조치 없이 사용하면 피부 자극, 호흡기 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환기가 잘 되는 공간, 니트릴 장갑, 마스크 사용, 피부 접촉 방지, 적절한 폐기 절차를 준수하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3D 프린터로 무엇을 만들 수 있나요?
A: 취미용 피규어, 게임 액세서리, 가정용 소품, 교체 부품, 프로토타입, 교육 자료, 맞춤형 장식품, 실용적인 도구, 코스튬 소품 등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운영 기술)란 무엇인가 : 산업 현장의 핵심 기술과 보안의 중요성 (0) | 2025.04.11 |
---|---|
유성기어(Planetary Gear)의 원리와 열에너지 재활용 (0) | 2025.03.13 |